통상임금2 근로소득, 임금, 보수의 차이점 정리 직장 생활을 시작하며 마주치게 되는 인사 및 노무 관련 용어는 상당히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이런 용어 중에서도 급여와 관련된 표현들, 특히 '근로소득', '임금', '보수' 같은 개념은 자주 혼용되곤 하는데요. 또한,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같은 다른 명칭들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러한 개념들의 정확한 정의와 그들 간의 차이점을 분석해보겠습니다. 근로자의 주요 수입원: 근로소득이란? 근로를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수익, 비롯하여 봉급, 보수, 급료, 세비, 임금, 그리고 상여와 같은 수당들을 '근로소득'이라고 합니다. 이 근로소득에는 △법인의 주주총회 혹은 사원총회, 또는 이와 유사한 의결기관에서 결정된 상여 소득, △법인세법에 따른 상여 처리 금액, 그리고 △퇴직 시 받게 되는 소득 중 퇴직소득에 포함되지.. 일상정보 2023. 8. 26.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주요 수당 탐색하기 통신비, 식비 지원, 자격 관련 수당, 차량 지원금 등 다양한 종류의 수당들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당들은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것인지, 아니면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것인지 구분이 필요합니다. 인사 관련 업무를 진행하면서 이러한 구분에 대한 혼동이 종종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수당 항목들이 어떤 분류에 속하는지 자세히 분석해보려 합니다. 통상임금의 범위와 포함 기준 알아보기 통상임금의 정의와 그에 속하는 임금 항목에 대한 구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식비 지원, 자동차 관련 수당, 직책에 따른 수당 같은 다양한 수당 항목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 아닌지의 기준을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통상임금은 관계법령(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1항)에 의해 정의되어 있으며, 근로자에게 일정하게,.. 일상정보 2023. 8. 26. 이전 1 다음